
제품 특징

최상의 효율 제공
- PCM(상변화 물질) 적용(특허출원)
- 압축공기 부하에 따라 냉동 컴프레서 On/Off제어
- 최대 99%까지 에너지 절감 효과
- 최단 시간 내 초기 투자비용 회수

PCM 내장 스테인리스
스틸 브레이징 판형 열교환기
- 글리콜탱크, 펌프, 밸브, 배관등 축냉에 필요한 별도 부품 전혀 없음
- 내구성이 뛰어난 스테인리스 스틸
- 고효율, 고성능으로 설치 공간 최소
- 전량 헬륨 누설 테스트 (누설기준: 연간 0.3g 이하)

No Loss Drain
- 정전 용량 센서
- 응축수 배출 시 공기손실 ZERO
- 작동 이상 시 타이머모드로 자동전환
작동 원리
PCM의 상변화
- 1 냉매의 순환을 위해 냉동 컴프레서와 컨덴서 팬을 운전시키면 칠러에서 차가워진 냉매가 PCM을 냉각시킨다.
- 2 PCM이 충분히 냉각되어 동결되면 냉동 컴프레서와 컨덴서의 팬이 정지된다.
- 3 냉매 순환이 정지된 시간 동안 압축공기는 동결된 PCM에 의해 연속적으로 냉각/제습이 되고 이 시간 동안 전력 소모가 없으므로 에너지가 절약된다.
- 4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열량에 의해 PCM은 점차 녹게 되고, PCM이 모두 녹으면 다시 냉동 컴프레서와 컨덴서 팬이 운전하며 PCM을 냉각시키는 과정이 계속 반복된다.
압축공기의 제습
- 1 고온의 포화 압축공기가 드라이어로 유입되면 리히터에서 차가운 출구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1차로 냉각된다.
- 2 1차로 냉각된 공기는 열교환기 내부 유로를 따라 칠러 측으로 이동하여 차가운 PCM과 2차 열교환을 한다.
- 3 이 때 응축된 응축수는 곧바로 열교환기 하부의 세퍼레이터에서 압축공기와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된다.
- 4 제습된 공기는 다시 리히터를 통과하면서 드라이어로 유입되는 고온의 압축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는 상승되고 상대습도는 더욱 낮아져 건조한 양질의 압축 공기가 외부로 공급된다.

제품 특징

차별화된 기술의
상(相)변화식 드라이어
- PCM(상변화 물질) 적용(특허출원)
- 압축공기 부하에 따라 냉동 컴프레서 On/Off 제어

에너지까지 절감하는
고온 일체형 제품
- PCM 내장 스테인리스 스틸 브레이징 판형 열교환기 적용
- 저렴한 에너지 비용으로 최대 99.8%까지 에너지 절감
- 최단 시간 내 초기 투자비용 회수

최대 60℃의
입구공기 처리 가능
- 고온의 작업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노점과 제습 성능 제공

전/후단 필터 내장으로
기본 성능 업그레이드
- 전단필터(3㎛) – 불순물 및 응축수 제거
- 후단필터(0.01㎛) – 고효율 유분 제거, Coalescing 기능
- 제품 설치 및 유지 보수 간결

No Loss
Drain
- 정전 용량 센서
- 응축수 배출 시 공기손실 ZERO
- 작동이상 시 타이머모드로 자동전환
작동원리

PCM의 상변화
- 1 냉매의 순환을 위해 냉동 컴프레서와 컨덴서 팬을 운전시키면 칠러에서 차가워진 냉매가 PCM을 냉각시킨다.
- 2 PCM이 충분히 냉각되어 동결되면 냉동 컴프레서와 컨덴서의 팬이 정지된다.
- 3 냉매 순환이 정지된 시간 동안 압축공기는 동결된 PCM에 의해 연속적으로 냉각/제습이 되고 이 시간 동안 전력 소모가 없으므로 에너지가 절약된다.
- 4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열량에 의해 PCM은 점차 녹게 되고, PCM이 모두 녹으면 다시 냉동 컴프레서와 컨덴서 팬이 운전하며 PCM을 냉각시키는 과정이 계속 반복된다.
압축공기의 제습
- 1 고온의 포화 압축공기가 드라이어로 유입되면 전단 필터/ 세퍼레이터에서 응축수와 불순물이 제거된다.
- 2 리히터에서 차가운 출구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1차 냉각된 후 열교환기 내부 유로를 따라 칠러 측으로 이동하여 차가운 PCM과 2차 열교환을 한다.
- 3 이 때 응축된 응축수는 곧바로 열교환기 하부의 세퍼레이터에서 압축공기와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된다.
- 4 제습된 공기는 다시 리히터를 통과하면서 드라이어로 유입되는 고온의 압축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상승되고 상대 습도는 더욱 낮아진다.
- 5 이후 후단 필터에서 추가적으로 잔여 수분이 제거되어 건조한 양질의 압축공기가 외부로 공급된다.

제품 특징
쿨러의 사용 없이도 최적의 토출공기온도 실현
– 100°C 의 초건조 노점 실현
제습타워 변환시 노점 헌팅의 최소화
에너지
절감 순서
- 1
- 상변화식에서 75% 수분을 먼저 제거함으로써 흡착식의 에너지 소모를 획기적으로 줄임
- 2
- 유량 변화뿐 아니라 일별, 계절별 온도 변화에 연동하여 스스로 운전, 정지하는 상변화식에 의한 절감
- 3
- 필요시 (겨울철을 제외한 계절) 상변화식만 단독으로 운전함으로써 전체 에너지 소모량을 대폭 줄임
- 4
- 부하에 따라 흡착식 노점 및 사이클타임을 연계하여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줄임
- 5
- 점심시간 등 부하가 없을 경우 흡착식 및 상변화식 모두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‘Zero’
작동원리

상변화식 운전 시스템의 이해
- 1 냉매의 순환을 위해 냉동 컴프레서와 컨덴서 팬을 운전시키면 칠러에서 차가워진 냉매가 PCM을 냉각시킨다.
- 2 PCM이 충분히 냉각되어 동결되면 냉동 컴프레서와 컨덴서의 팬이 정지된다.
- 3 냉매 순환이 정지된 시간 동안 압축공기는 동결된 PCM에 의해 연속적으로 냉각/제습이 되고 이 시간 동안 전력 소모가 없으므로 에너지가 절약된다.
- 4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열량에 의해 PCM은 점차 녹게 되고, PCM이 모두 녹으면 다시 냉동 컴프레서와 컨덴서 팬이 운전하며 PCM을 냉각시키는 과정이 계속 반복된다.
압축공기의 제습
- 1 고온의 포화 압축공기가 드라이어로 유입되면 리히터에서 차가운 출구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1차 냉각된다.
- 2 1차 냉각된 압축공기는 칠러를 통과하며 냉각된 PCM이 녹으면서 2차 열교환을 한다.
- 3 칠러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응축수는 세퍼레이터에서 압축공기와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된다.
- 4 PCM에 의해 냉각된 압축공기는 흡착 타워를 통과하여 보증 이슬점(-40℃ or -70℃) 이하의 압축공기를 생산한다.
- 5 보증 이슬점까지 제습된 압축공기는 상변화식 리히터를 통과하면서 상대 습도를 낮추고 최종적으로 고품질의 압축공기를 외부로 공급한다.
드라이어 타입 |
처리 유량 [Nm3/hr] |
소비전력 [kW] |
소비 퍼지량 [%] |
재생 시간 [hr] |
일일소비 전력량[kW] |
일일소비 퍼지량[kW] |
연간 전력비[\] |
에너지 절감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히터 퍼지 |
14,000 | 120 (히터120) |
15 | 4 (가열3 + 냉각1) |
2,160 | 5,880 | 352,152,000 | 68% |
복합식 히터 퍼지 |
96 (히터42 + 상변화54) |
5 | 16 (가열10 + 냉각3 + 대기3) |
1,019 | 1,593 | 114,374,940 |
블로워 퍼지 |
14,000 | 197 (히터179 + 블로워18) |
15 | 4 | 3,546 | 1,470 | 219,700,800 | 68% |
복합식 블로워 퍼지 |
111 (히터46 + 블로워11 + 상변화식54) |
5 | 16 (가열10 + 냉각3 + 대기3) |
1,244 | 368 | 70,574,940 |
블로워 넌퍼지 |
14,000 | 250 (히터230 + 블로워20) |
0 | 6 (가열4.25 + 냉각1.25 + 평형0.5) |
4,350 | 0 | 190,530,000 | 59% |
복합식 블로워 넌퍼지 |
135.5 (히터74 + 블로워7.5 + 상변화식54) |
0 | 16 (가열11 + 냉각4 + 대기1) |
1,779 | 0 | 77,900,490 |
- 상기 예시는 흡착식 Type 변경 없이 상변화 복합식으로 개조했을 경우를 나타낸 에너지 절감률 비교표입니다.
- 하기 예시는 히터 퍼지 드라이어를 복합식 블로워 넌퍼지로 개조하였을 경우 소비되는 에너지 비용의 상세 내용입니다. 이처럼 흡착식 Type 변경을 병행해서 개조하면 에너지 절감률은 극대화됩니다.
히터 퍼지 에너지비용(연간) |
---|
총 에너지 비용
124,173,000 + 343,392,000
467,565,000₩/년
|
전기 히터 에너지 비용 124,173,000₩/년
189kW x (2.5hr ÷ 4hr) x 24hr x 365day x 120₩/kW)
|
퍼지 에어 비용 343,392,000₩/년
(14,000Nm3/hr x 20%) x (24day x 14₩ ÷ 120₩/kW) x 365day x 120₩/kW)
. |
복합식 블로워 넌퍼지 에너지비용(연간) |
---|
총 에너지 비용
53,479,800 + 7,391,250 + 17,029,440
77,900,490₩/년
|
전기 히터 에너지 비용 53,479,800₩/년
(74kW x (11hr ÷ 16hr) x 24hr x 365day x 120₩/kW)
|
에어 블로워 에너지 비용 7,391,250₩/년
(7.5kW x (11+4)hr ÷ 16hr) x 24hr x 365day x 120₩/kW)
|
상변화식 드라이어 17,029,440₩/년
(54kW x 평균가동율 30% x 24day x 365day x 120₩/kW)
|


제품 특징

최상의 효율 제공
- PCM(상변화 물질) 적용(특허출원)
- 압축공기 부하에 따라 냉동 컴프레서 On/Off제어
- 최대 99%까지 에너지 절감 효과
- 최단 시간 내 초기 투자비용 회수

PCM 내장 스테인리스
스틸 브레이징 판형 열교환기
- 글리콜탱크, 펌프, 밸브, 배관등 축냉에 필요한 별도 부품 전혀 없음
- 내구성이 뛰어난 스테인리스 스틸
- 고효율, 고성능으로 설치 공간 최소
- 전량 헬륨 누설 테스트 (누설기준: 연간 0.3g 이하)

No Loss Drain
- 정전 용량 센서
- 응축수 배출 시 공기손실 ZERO
- 작동 이상 시 타이머모드로 자동전환
작동 원리
PCM의 상변화
- 1 냉매의 순환을 위해 냉동 컴프레서와 컨덴서 팬을 운전시키면 칠러에서 차가워진 냉매가 PCM을 냉각시킨다.
- 2 PCM이 충분히 냉각되어 동결되면 냉동 컴프레서와 컨덴서의 팬이 정지된다.
- 3 냉매 순환이 정지된 시간 동안 압축공기는 동결된 PCM에 의해 연속적으로 냉각/제습이 되고 이 시간 동안 전력 소모가 없으므로 에너지가 절약된다.
- 4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열량에 의해 PCM은 점차 녹게 되고, PCM이 모두 녹으면 다시 냉동 컴프레서와 컨덴서 팬이 운전하며 PCM을 냉각시키는 과정이 계속 반복된다.
압축공기의 제습
- 1 고온의 포화 압축공기가 드라이어로 유입되면 리히터에서 차가운 출구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1차로 냉각된다.
- 2 1차로 냉각된 공기는 열교환기 내부 유로를 따라 칠러 측으로 이동하여 차가운 PCM과 2차 열교환을 한다.
- 3 이 때 응축된 응축수는 곧바로 열교환기 하부의 세퍼레이터에서 압축공기와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된다.
- 4 제습된 공기는 다시 리히터를 통과하면서 드라이어로 유입되는 고온의 압축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는 상승되고 상대습도는 더욱 낮아져 건조한 양질의 압축 공기가 외부로 공급된다.